한동안 잠잠했던 전기차 관련주들이 정부의 보조금 지원 소식에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13일 오전 9시46분 현재 CT&T(050470)와 AD모터스(038120), 지앤디윈텍(061050)은 각각 상한가인 139원, 810원, 580원을 기록 중이다. 삼양옵틱스(008080)도 전일대비 13.08% 상승한 1205원, 코디에스(080530)는 6.19% 오른 72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2일 고속전기차에 대해서는 최대 2000만원, 저속전기차는 800만원의 구매보조금을 지급키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공공기관 구매분에 대해 시행하며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동일한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주된 의견이다.
전기차 관련주는 지난해 크게 부각됐었다. 하지만 인프라 부족과 정부의 지원책 미비 등으로 관심이 사그러들었고 올해 들어 전기차 관련주의 대표주자인 CT&T가 극심한 경영악화로 결국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서 전기차 관련주 전반에 대한 \'거품\'논란도 일었다.
하지만 이번에 정부가 전기차 구매 관련 보조금 지원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면서 그동안의 우려가 일정부분 해소됐다는 평가다.
[전기차 관련 일정] • 2010.10 정부, 정기차 보조금 최대 3000만원 지원 정부 보조금 1500만원, 지자체 보조금 1500만원...일반인 보조금도 같은 수준 될 듯 • 2010.10 환경부 \"국내 개발 전기차, 충전기 평가사업 시작\" • 2010.10 LS전선, 고속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2010.10 중국 과학기술부, \'중국의 청정에너지 과학기술\'보고서 발표 중국의 전기차 등 신에너지 자동차 보유량이 오는 2015년 100만대에 달하고 오는 2020년에는 1000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
전기차 테마 관련주는?
종목 |
관련 요인은?? |
만도(060980)
|
자동차부품업체로, 전기차 핵심 부품 콘덴서에 대한 샘플테스트 후 충전기
관련 사업 확대 계획 |
SK에너지(096770) |
블루온에 핵심 부품인 배터리 납품 |
효성(004800) |
ATM기술로 전기차 충전장치 사업에 참여. 올해 말까지 한전과 공동으로 충전 스테이션 건립을 추진할 계획임 |
한라공조(018880) |
국내 최대 자동차 공조제품 전문 제조업체 |
현대EP(089470) |
자동차용 플라스틱 내외장재를 생산하는 업체로 고유동 및 고강성 범퍼용
소재와 도어 모듈용 소재 개발이 주력분야임 |
인지컨트롤스
(023800) |
자동차 엔진 및 연료 장치의 각종 제어 부품을 주로 생산하는 업체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엔진냉각수 제어 장치와 엔진 녹킹 센서(엔진 압력을 제어하는 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고, 현대차, 기아차에 관련 제품을 독점 공급.
물 온도 조절기를 블루온에 장착시킴 |
오리엔트바이오
(002630) |
오리엔트바이오의 계열사인 오리엔트전자는 현대차의 블루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중 전원공급장치(파워서플라이)를 공급중. 오리엔트전자는 전원
공급장치 제조업체로, 오리엔트바이오가 전체 지분의 67.4%를 보유 |
코디에스(080530) |
LCD 검사장비인 프로브 유닛 생산 전문업체로, 삼성전자 전체 LCD물량의
60%이상에 당사의 제품이 사용됨. 전기차 내장용 충전기 개발해 테스트 진행중 월드컵 상암경기장, 서울대공원, CT&T 등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공급 |
우리산업(072470) |
한라공조를 통해 고전압 프리히터 제공 |
뉴인텍(012340) |
최근 전기차용 커패시터 초도 양산을 시작했으며, 블루온에 전기차용 커패시터
(콘덴서)를 공급. 콘덴서 부문에서만 40년이 넘는 업력을 가지고 있음 |
우수AMS(066590) |
엔진 Bracket, 변속기 부품 등 파워트레인 계통의 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자동차 부품업체. 주요 매출처는 현대차, 기아차, GM대우 등의 완성차 업체로
전체 매출의 75%이상을 납품. 그 외 현대파워텍, 위아 및 기타 부품업체들과
해외 MAGNA그룹을 거래처로 확보하고 있음 |
유라테크(048430) |
자동차 점화장치용 부품 생산업체로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에 납품 |
아모텍(052710) |
전자 부품업체로 고속 전기자동차용 DLBC모터에 대한 개발을 진행중 |
EMW(079190) |
현재 관계사인 EMW에너지가 교체형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개발을
상당부분 마친 상황이며, EMW의 류병훈 사장이 EMW에너지의 지분 85%를
보유하고 있음 |
케이엔디티
(046120) |
당사의 결정화장비는 현재까지 유기발광다이오드용 화합물 제조장치,
리튬카보네이트 제조용 장치, 무기화합물 제조용 장치 등을 국내 대기업 및
일본기업 등에 공급한 경험이 있음 |
피에스텍(002230) |
당사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는 계열사 덴소풍성전자가 블루온 개발에 참여함 |
필코전자(033290) |
전기차 부품인 캐패시터 개발을 진행중 |
CT&T(050470) |
전기차 제조업체로, 네덜란드에 연산 1만대 규모의 전기차 공장 보유. CT&T는 네덜란드의 운송업체인 쿠프만그룹으로 전기차 업체인 A.G.V와 함께
수년 내 네덜란드 북부 및 남부 지역에 연산 1만대 규모의 전기차 조립공장
2곳을 지어 도심형(저속)전기차인 ‘e-ZONE’과 전기버스 등을 생산할 계획발표 |
지앤디윈텍
(061050) |
탑알앤디와 합병을 통해 전기자동차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전기자동차
시장에 본격진출. 대기업에 군남용 대용량급 로봇전기자동차와 산업용
특수목적 전기자동차를 개발해 납품했으며, 지난 2008년에는 업계 최초로
15KW급 수륙양용전기자동차를 자체 개발하는 등 기술력 있는 기업.
탑알앤디와 합병 외에도 전기자동차 사업 진출을 위해 모터 및 배터리 등
각분야의 선두기업을 중심으로 EVC(전기자동차컨소시엄) 구성 |
* 시세가 궁금하다면 종목명 클릭
전기차 블루온 테마 구성 배경
1) 현대차, 전기차 ‘블루온’공개 지난 9월 9일 국내 최초로 개발된 전기차 ‘블루온’을 공개 고출력 리튬이온폴리머배터리 장착, 220V사용 땐 6시간 이내 90%충전
올해 상품성 검토.. 내년 본격 양산
2) 정부, 오는 2020년까지 고속전기차 100만대 보급계획 발표 정부는 블루온 공개와 함께 오는 2020년까지 고속 전기차 100만대 보급을 골자로 하는 고속 전기차
육성책을 내놓았다. 중형 전기차 양산 시기도 2014년으로 3년 앞당기기로 하는 등 전기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안을 내놓았다. - 오는 2011년부터 양산, 오는 2020년까지 100만대 보급 - 배터리 교체형 車 개발도 오는 2012년부터 추진
[현대차 \'블루온\'은?] 블루온은 현대차의 유럽 전략형 해치백 모델인 \'i10\'을 기반으로 한 국산 1호 고속전기차로,
중소기업들과 협력해 약 1년간의 연구 기간에 총 400억원의 개발비를 투입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된 양산형 전기차이다. 작년 7월 출시된 최초의 양산 전기차인 일본 미쓰비시 아이미브에 비해
주행성능, 충전시간 등에 있어 성능이 앞선다는 평을 받고 있다.
블루온 개발에는 현대차를 비롯해 인지컨트롤스, 뉴인텍, 경신공업, 유라코퍼레이션, 덴소풍성전자,
우리산업, 만도, SK에너지, 효성, 한라공조 등 대ㆍ중소 부품회사 44곳이 참여했다.
[현대차 \'블루온\'의 특징] 전장 3,585㎜, 전폭 1,595㎜, 전고 1,540㎜로 경차 모닝ㆍ마티즈와 비슷한 크기에 고효율의 전기모터와
16.4㎾h의 전기차 전용 리튬이온 폴리머배터리를 탑재했다.
최고출력은 81마력, 최대토크는 21.4㎏.m에 달한다.
배터리와 전기모터만으로 구동하는 순수 전기차는 배터리 수명과 저장 능력에 따라 차량 성능이 좌우
되는 만큼 다른 배터리에 비해 고출력ㆍ고용량의 성능을 지닌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를 적용했다.
최고속도는 시속 130㎞이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13.1초로 동급 가솔린
차량보다도 오히려 우수한 가속 성능을 갖춤. 일반 가정용 전기인 220V를 이용한 완속 충전 시에는
6시간 이내에 90% 충전이 이뤄지고, 380V의 급속 충전시에는 25분 이내에 약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전기차 개발 현황 및 전망
현재 전기차 시장 구도는 일본의 미쓰비시가 앞선 가운데 미국 GM과 일본 닛산 등이 추격하는 양상
이다. 미쓰비시는 지난해 7월 세계 첫 전기차 아이미브를 개발해 올 4월부터 일반 판매에 나섰다.
GM과 닛산은 올 하반기에 각각 \'시보레 볼트\'와 \'리프\'를 시판할 예정이다.
중국 BYD도 내년에 양산 모델을 내놓을 계획이다. 우리는 한참 뒤져 있는 셈이다. 이런 와중에 작년 10월 정부가 국산 전기차의 상용화 시점을 오는 2011년으로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이번 블루온개발이 그 결실이다. 정부는 2015년까지 국내 소형차 시장의 10%를 전기차로
대체하고 세계 전기차 시장의 10%를 차지한다는 목표다.
당초 2017년으로 예정했던 중형 전기차 양산시기도 2014년으로 3년 앞당기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11~2012년 공공 부문, 2013년 민간 부문으로 전기차 보급을 순차 확대하고 2020년에는 100만대의
전기차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테마 관련 지식
[용어설명] 전기차의 구성
전기차의 주요 전장부품은 배터리, 전기모터, 인버터, 컨버터, 배터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되며 전기차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전기자동차의 주행시간을 늘릴 수 있는 배터리 제조기술이 전기차 성능 향상의 관건인 셈.
그러나 탑재되는 2차전지의 비용과 무게 등을 고려하면 적정규모의 2차전치 탑재와 적절한 충전
인프라 구축이 전기차 가격 하락과 보급 확대에 있어 중요한 조건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블루온’개발 참여기업 명단] |
종목 |
관련 요인은?? |
|
|
인버터 |
완제품: LG산전 커패시터: 뉴인텍 커넥터: LG전선 기구류: 진영프로토 |
배터리팩 |
완제품: 모비스 블로워: 한라공조 UPPER CASE: 인지컨트롤스 LOWER CASE: 신영 PRA: LS산전 제어기: 케피코 |
모터 |
완제품: 효성 샤프트:세일공업 하우징 실드: 이조금속 |
충전기 |
완제품: 만도 FET, 다이오드: 인피니언 컨트롤러: 프리스케일 |
감속기 |
완제품: 효성 DISS Ass’y: 우수AMS CASE: 일광주공 기어류: 삼공기업 |
냉난방공조시스템 |
완제품: 한라공조 고전압 PTC 소재류: 우리산업 BLDC모터: 원진 컨덴서: 서브앗세이 후성공조 |
회생제동
브레이크 |
완제품: 만도 모터: LG이노텍 솔레노이드밸브: GMS ECU: 콘티넨탈 펌프/피스톤: 서영정밀 |
클러스터앗세이 |
완제품: 덴소풍성전자 스크린인쇄: 대아산업 몰드사출: 유신산업 LCD제조: 옵트렉스 PCB제조: 승일전자 |
배터리시스템 |
완제품: SK에너지 셀: SKME 와이어: 용성전장 |
고전압충전포트 |
완제품: 유라코퍼레이션 사출물: 한국정밀 프레스물: 진양코퍼레이션 |
LDC
|
완제품: 모비스 파워서플라이: 오리엔트전자
디지털전자 변압기: 용인전자 |
고전압와이어링 |
완제품 경신공업 커넥터 한국단자, TycoAM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