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앞으로 1년간 기준금리를 최소 35%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 1월까지 연준 부의장을 지낸 리처드 클래리다 교수는 스탠포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회의에서 작년과 올해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것으로 판명된 최상의 상황에서라도 연준은 궁극적으로 기준금리를 규제적 수준까지 올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컬럼비아대학교 경제학 교수인 클래리다는 내년 인플레이션이 3% 이상일 경우, 이를 연준의 목표인 2% 수준까지 낮추려면 기준 금리를 4%까지 올릴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연준이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05%포인트(p) 이상 금리를 올리는 빅 스텝을 여러 차례 단행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연준은 지난 5일 2000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인상했다 이와 함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오는 6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0
5%p씩의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이는 지난달 16명의 연준 간부들이 제시한 최대 금리 인상 전망치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가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국채 시장 변화로 미국 장기 금리가 이례적으로 높아질 경우 금리인상 필요성은 줄어든다고 봤다 연준은 다음달 1일부터 현재 8조9000억달러(약 1경1272조원) 규모인 대차대조표 규모 축소(양적 긴축)에 돌입한다 |